동양의 옛 그림이나 문학 작품, 역사적 인물 등에 자신의 이름 대신 자(字)와 호(號)를 많이 사용했고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동아시아의 전근대시기에 자와 호가 있어 본명과 함께 사용하였다. 윗사람에게는 자신의 본명을 썼고 동년배 이하의 사람에게는 자나 호를 사용하였다. 자. 호. 이름 세 가지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아이가 태어나면 아명(兒名)을 지었다. 본인의 의지와 관계없이 부모나 가족의 뜻이 담긴 이름으로 대부분 투박하고 촌스러운 경우가 많았다. 신생아 생존율이 낮았던 이유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귀신이 질투하지 못하게 한다고 하여 '개똥이', '소똥이' 등 막 부르는 이름을 불렀다가 성인이 되어서 정식으로 이름을 지어주게 된 것이다. 정식 이름은 15세에서 20세 사이 지어주며, 성인식 관례(冠禮)를 올릴 때 받는다고 하여 관명(冠名)이라고도 한다.
자(字)는 보통 성인이 되었을 때 받는 이름으로, 본명 이외에 부여되는 또다른 이름이다. 한 사람이 성인으로 살아가는데 치침 또는 귀감이 되는 의미를 담으며 부모나 스승 등이 지어준다. 이는 성인이 되는 자식과 제자를 존중하는 의미도 있으며, 공적인 자리에서 본명을 대신하여 사용하기도 했다.
호(號)는 자와는 달리, 성인이 된 이후 본인이 스스로 정하거나 주변 사람들이 존경의 뜻으로 붙여주는 별칭이다. 주로 학자나 문인, 화가들이 사용했다. 호에는 그 사람의 인생철학, 가치관, 삶의 방향, 취향 등을 내포하며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었다. 호는 자신의 고향이나 사는 곳에서 빌리는 경우가 많았다. 조선의 학자 이황의 호 퇴계(退溪)는 이황이 살던 곳의 개울 이름이다. 율곡(栗谷)은 이이가 지내던 밤나무골의 한자표기이다.
자(字)는 성인식 때 받는 이름이고, 호(號)는 나이가 들면서 자아를 반영하여 스스로 정하거나 받은 이름이다. 선인들의 이름 짓기는 한 인간으로서 홀로서기의 상징이기도 하며 주체성 확립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도 하다.
동양화를 감상할 때 이름을 알기도 어려운데 이름과 무관해 보이는 글자도 있어 어렵기도 하지만, 이름 대신 자나 호를 사용한 것은 이름이 소중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부모에게서 받은 이름을 소중히 여기며 이름을 되도록 사용하지 않고 이름에 상응하는 호칭으로 자와 호를 사용하였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넘나드는 생활을 하는 현대인들에게도 닉네임을 갖게 되는데 본인에게 어울리는 멋진 호나 자를 써보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며 글을 마무리해 본다.
참고문헌
1) 김상엽, <<들어가서 보는 그림, 동양화>> , 루비박스, 2012
'문화 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화란 어떤 그림 일까? (62) | 2024.09.06 |
---|---|
낙관(落款) (12) | 2024.09.06 |
간송 전형필 (36) | 2024.09.02 |
대구간송미술관 개관 (21) | 2024.09.02 |
몽유도원도(夢遊挑源圖) (16) | 2024.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