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 예술

음양오행에 의한 오방색

   우주 만물과 모든 현상은 음양으로 구분되며 그 음양의 법칙에 따라 변화한다.   그와 동시에 우주 만물과 모든 현상은 오행(五行)으로 구분되며 그 오행의 법칙에 따라 운행된다.   오행이란 우주 간에 존재하는 원소(元素)인 목. 화. 토. 금. 수 오(五) 가지를 말한다.   오행은 상생상극(相生相剋)하며 변화를 계속한다.   이와 같은 특성을 지니므로 우주 만물과 모든 현상은 오행 상생상극의 변화 법칙에 따라 존재하고 사라지는 생장소멸을 계속한다.   오행이 이와 같은 특성을 지니므로 음양오행에 기초를 두고 예부터 청. 적. 백. 흑. 황 기본 다섯 가지의 색으로 표현했다.   이 오방색(五放色)은 중국에서도 많은 사용이 되어 온 것이지만 우리의 오방색은 우리의 감각과 어우러지며 밝은 중간 색조를 띤다.   중국의 붉은색은 검붉고 무거운 색조이나 우리나라의 붉은색은 밝고 환한 색조를 띤다.   이러한 차이는 대부분의 색에서 찾아볼 수 있다.   중국은 오랜 시간 우리의 화풍에 영향을 미쳤으나 색감만은 우리에게 간섭하지 못하였다.   우리의 전통에서는 색깔이 가진 뒷면의 뜻을 중요하게 생각한 것이 특징이다.   그것 또한 음양오행설의 바탕에서 나온 관념체계인 것이다.

자수
출처: Pinterest

   우리나라의 오방색은 궁궐과 사찰, 건물, 불화, 단청과 예복, 흉배, 노리개, 베갯모, 자수, 보자기, 무신도, 민화 등에 잘 나타나있다.   오색이 동양적인 우주 철학인 오행사상과 오방향으로 결합되었고, 또한 신성한 사수와 연결되어 하나의 색채적 이론을 성립하게 되었다.   오행에는 오색이 따르며 절계와 범위가 따르며 이것은 방위와 색과 절계를 오행에 맞춰 생각했기 때문이다.   오행의 특성은 옛사람들이 장기간에 걸친 생활 및 생산실천에서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 등 구체적인 물질 자체를 초월하여 더욱 광범한 함의를 지니고 있다.   동양은 오행이 세상 만물을 이루는 근본 조건이었으며, 오행원리에 대한 깨달음을 통해 자연에 순응하는 조화된 삶을 지향하여 왔다.   

 

   음양오행의 원리적 이해를 바탕으로 오방색의 개념을 우주과 자연관으로서, 상징체계로서, 자연색체계로서 인식되어왔다.   그렇게 우리의 고유한 우주관에 근거를 둔 관념화된 색채관이 삼국, 고려와 조선에 이어 현대에 이어지면서 의. 식. 주 등에 적용되었고 오늘날 무당들의 화려한 옷을 착용하고 굿을 하며, 제사상 제물들의 색채와 위치까지 규정되어 있고, 오방색과 오행설에 의한 단청 문화의 형성과, 함과, 보자기 등의 일상용품에서도 그 유래를 남겼고, 관혼상제의 색채 표현 등 많은 것들이 무교의 관념화된 색채 의식으로부터 발달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오방색의 질감이 잘 나타나는 대상은 민화이다.   미술사학자 김원용 박사는 한국의 미인으로 무신도 속 무녀 그림 속에는 한국의 색이 있다. 또한 연화도와 주작도, 글자 그림의 효제도, 군학십장생도 등에서 오방색으로 빚는 아름다움의 극치를 맛볼 수 있다고 했다.

 

   민화는 남. 주. 황. 록을 기본색으로 때로는 홍. 자. 흑. 백의 색상으로 그려졌다.   그중 남. 주. 황은 쪽(남), 꼭두선이(주), 치자(황)에서 얻은 안료이며, 꾸지뽕나무뿌리를 우려낸 자황으로부터 황색 안료를 만들었다.   우리 오방색은 이렇게 천연의 물감에서 얻은 것이며 중간의 아름다움, 이 색이 바로 자연의 색이다.  

  

   자연은 사상, 종교와 더불어 한국을 비롯한 중국, 일본 등 동양에서 예술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인 것이다.   색(色)에 있어서 음식의 오행, 오색 또한 인체의 음양오행에 직접적이고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며 인체에 관여한다.   음식은 자연(自然)에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인체(人體)에 유익하게 작용한다.   자연 상태의 것은 소화흡수를 잘되게 하고 생기(生氣)를 찾게 한다.   자연적 음양오행은 인체에서는 인체 음양오행의 기(氣)를 득(得)하여 보다 강력한 체력을 유지하고 발전시킬 수 있다.   식생활에서도 수천 년 동안 주식이 된 밥은 오행을 구비하고 있다.   쌀과 보리, 조와 콩, 기장으로 오곡밥과 약식을 만들었다.   반찬도 다섯 가지의 나물을 오행과 오색에 맞추며, 국도 다섯 가지의 건더기를 넣어서 끓였다.   잔칫상의 국수 위에는 장수를 기원하며 오색고명을 올려 오행에 순응하는 기복 의미를 더하기도 했다.   

 

   이렇게 다양한 전통적 문화를 형성하는 음양오행의 원리는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삶을 살아가고 음식, 결국 우리의 건강과도 색채는 밀접한 연관을 지으며 우리의 생활 문화에 밀접하게 영향을 미쳐왔다.

 

 

 

 

참고 문헌

1)  서승환, <<四柱命理 漢方處方學>>, 관음출판사, 2007

2)  최성자, <<한국의 미 선 색 형>>, 지식산업사, 1993

3)  조영실, <陰陽五行設을 통한 韓國的 色彩美感 硏究>, 홍익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6

4)  정수호. 김종섭 공저,  <<四柱와 疾病哲學>>, 에듀컨텐츠, 휴피아, 2008

5)  한정언, <自然色體系로서 五放色原理의 構造的 特性과 그 現代的 意味에 관한 考察>,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2

6)  장명화, <한국화의 오방색에 대한 조형성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3

7)  이인숙, <한국의 전통적 미의식과 오방색의 관계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2

8)  곽병우, <전통오방색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색채의식과 치료활용도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0

9)  배민경, <음양오행을 통한 오방색 표현 연구>, 홍익대학고 석사학위논문, 2017

'문화 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각보와 오방색  (14) 2024.08.20
색동한복  (0) 2024.08.20
오방색(五放色)의 이론적 배경  (1) 2024.08.20
음양오행론(陰陽五行論)  (2) 2024.08.19
음양오행론(陰陽五行論)  (0) 2024.08.19